커뮤니티

각 분야별 의료진분들의 전문칼럼을 만나보세요

참튼튼병원 언론보도

[건강]키 작은 우리 아이, 어떻게 치료할까 등록일   2013-03-06
기사 원문보기




# 주부 최미림(38) 씨는 최근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초등학교에 입학한 딸이 또래들보다 키가 많이 작기 때문이다. 요즘엔 키 작은 것도 놀림거리가 돼 왕따를 당할 수도 있다는 말을 듣고 나니 마음이 싱숭생숭하다. 이에 최 씨는 며칠 전 큰 결심을 했다. 바로 아이와 함께 성장클리닉에 방문해 성장판검사 등을 받기로 한 것. 주변에선 유별나게 구는 것 아니냐고 하는 이들도 있지만 ‘키’로 인해 아이에게 문제가 생기는 것은 결코 있을 수 없다는 생각에 결정을 내렸다.

개학 이후 자녀의 작은 키를 걱정하는 부모들이 많다. 특히 초등학교 입학식에서 또래보다 작은 자녀의 키를 확인한 부모들은 더욱 걱정이다. 어떻게 하면 1cm라도 키를 더 키울 수 있는지가 초미의 관심사다.

자녀의 키 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유전적인 요소다. 예상키의 70% 이상이 부모에 의해 결정된다. 남자의 경우 부모 평균키에서 6.5cm를 더한 키가 예상키고 여자의 경우 부모 평균키에서 6.5cm를 뺀 키다.

또래 100명 중 세 번째로 작은 아이는 ‘저신장’으로 본다. 또래 평균 신장보다 10cm 이상 작아도 저신장을 의심할 수 있다. 또 만2세부터 사춘기 전까지 매년 성장속도가 4cm 이하라면 관련 검사를 해봐야한다.



khan.jpg



저신장과 함께 자녀의 키 성장을 방해하는 것은 ‘척추측만증’이다. 척추측만증으로 인해 성장판이 압박을 받아 제대로 성장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척추측만증은 우리 몸의 정중앙에 있어야할 척추가 옆으로 휘거나 한쪽으로 치우쳐 C자 형태로 변형된 상태를 뜻한다. 단순히 옆으로 휜 것만이 아니라 척추의 회전변형도 이에 포함된다. 척추측만증이 있으면 요통과 다리저림이 나타나고 심하면 호흡곤란과 소화불량에 시달릴 수 있다.

일반적인 척추측만증은 척추 구조에 변화가 없지만 가방을 한쪽으로 메거나 앉는 자세가 바르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청담튼튼병원 성장클리닉 신정연 원장은 “최근 척추측만증을 호소하는 청소년들이 매우 많다”며 “한창 키가 클 시기에 척추측만증이 오게 되면 휘어지는 정도가 더욱 심해져 키 성장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교정치료를 통해 올바른 자세로 교정해 숨어있는 키도 찾고 성장이 잘 이뤄지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척추측만증이 있는 경우 치료하면 되지만 일반적인 저신장이 의심될 때는 성장판검사를 통해 자녀의 뼈 나이를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뼈 나이는 주로 왼쪽 손 엑스레이사진을 통해 측정한다. 뼈 나이는 현재의 신체발달상태와의 연관성이 높아 성장 여부를 평가하는 대표적 지표로 꼽힌다. 실제 나이와 뼈 나이가 일치하는데도 저신장에 속한다면 이는 유전적으로 성인이 됐을 때도 키가 작을 가능성이 높다. 체질적으로 늦게 크는 아이는 뼈 나이를 측정했을 때 실제 나이보다 뼈 나이가 어린 경우가 많다.

저신장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것은 균형 잡힌 식사와 꾸준한 운동이다. 단백질과 (비타민 포함)무기질을 충분히 섭취하고 운동은 하루 30분 전후, 주 3회 이상 규칙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은 줄넘기나 스트레칭이 좋으며 너무 격렬하거나 무거운 것을 드는 운동은 좋지 않다.

이와 함께 성장호르몬을 통한 치료로도 효과를 볼 수 있다. 이 치료는 저신장의 원인이 성장호르몬 부족일 때 가능하다. 성장호르몬이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성장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단백질 합성과 지방분해를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보통 6개월에서 1년 이상 호르몬을 투여하는데 매일 취침 전 부모님이나 어린이 본인이 직접 피하주사로 투여하면 된다. 최근엔 자가투여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자동주사기나 바늘없는 자가투약기 등이 개발됐다.

성장호르몬치료는 뼈 성장이 완전히 멈추기 전에 시작해야한다. 치료에 가장 적당한 시기는 사춘기 전이다. 가능하면 여자아이는 만9세 이전, 남자아이는 만10세 이전에 치료를 시작할 것을 권장한다.

만약 성장판이 이미 닫히거나 뼈 나이가 너무 많아 성장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경우에는 치료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사춘기 신체발달이 끝나면 뼛속 성장판이 닫혀 키 성장이 멈추기 때문인데 2차 성징시기 이전에 성장호르몬치료를 받아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신 원장은 “대다수 부모들이 성장판검사가 비쌀 것이라는 생각에 병원오기를 꺼려하거나 ‘좀 있으면 크겠지’라는 생각에 건강보조영양제와 약재치료에만 신경 쓰는 경우가 많다”며 “하지만 아이 성장은 언제 치료 받느냐가 매우 중요하고 제때 호르몬 치료를 받을 때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khanco.jpg